-
공공임대주택이나 특별공급, 청년 전세자금대출 등을 신청할 때 자주 마주치는 문구 중 하나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 또는 “100% 이하” 라는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이 무엇인지부터,
가구원 수별 기준표, 퍼센트별 계산 방식, 활용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이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도시 지역(읍·면 제외)에 거주하는 근로자 가구의 평균 소득을 말합니다.
이때의 근로자란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등 임금 근로자를 의미하며, 해당 가구가 벌어들이는 월평균 세전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이 통계는 청약제도나 주거복지 정책의 소득 판정 기준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2025년 청약·임대주택용 도시근로자 소득 기준표 (2024년 통계 기반)
📌 적용 기준: 2025년 각종 청약·임대주택 신청 시 사용될 기준
📌 출처: 2024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도시근로자 가구), 국토교통부 발표 예정 수치 기반 예측⚠️ 아직 국토부의 최종 고시는 2025년 초에 확정되지만, 아래 수치는 2024년 실제 도시근로자 통계를 반영한 신뢰도 높은 기준표 초안입니다.
가구원 수 50% 이하 70% 이하 100% 기준 120% 기준 1인 가구 1,533,815원 2,147,341원 3,067,630원 3,681,156원 2인 가구 2,498,065원 3,497,291원 4,995,130원 5,994,156원 3인 가구 3,245,507원 4,543,710원 6,491,015원 7,789,218원 4인 가구 3,526,021원 4,936,430원 7,052,044원 8,462,452원 5인 가구 3,598,820원 5,038,348원 7,197,640원 8,637,168원 6인 가구 3,900,517원 5,460,724원 7,801,034원 9,361,241원 어디에 활용되나요?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은 분야에서 매우 자주 활용됩니다.
공공주택 청약 국민임대주택, 행복주택, 영구임대주택 특별공급 자격 신혼부부, 다자녀, 생애최초 특별공급 등 주거 복지 정책 주거급여, 전세임대, 월세지원 등 금융 지원제도 청년전세자금대출, 보증금 지원 상품 등 각 제도별로 요구하는 소득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최신 기준표를 참고해 내 가구에 맞는 금액을 확인해야 합니다.퍼센트별 계산 예시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기준은 퍼센트별로 적용되며, 가구 규모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 예시 ①: 3인 가구 / 소득기준 70% 이하
- 100% 기준: 6,293,116원
- 70% 계산: 6,293,116 × 0.7 = 4,405,181원
➡️ 월 소득이 440만 원 이하일 경우 자격 충족
📌 예시 ②: 4인 가구 / 소득기준 50% 이하
- 100% 기준: 6,822,490원
- 50% 계산: 6,822,490 × 0.5 = 3,411,245원
➡️ 월 소득이 341만 원 이하일 경우 자격 충족
이처럼 퍼센트 기준이 다르면 자격 요건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꼭 제도별 공고문에 명시된 기준 퍼센트를 먼저 확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 이 소득은 세전인가요, 세후인가요?
👉 세전 소득 기준입니다. 급여 총액 기준으로 비교해야 하며, 세금 공제 후 금액이 아닙니다.
Q. 소득 기준은 건강보험료로 비교하나요?
👉 일부 제도(예: 주거급여)는 건강보험료 납부액 기준으로 소득을 판정하기도 하며,
청약 등에서는 소득금액증명원, 급여명세서, 원천징수영수증 등의 실제 소득자료를 기준으로 비교합니다.Q. 맞벌이일 경우 가구원 수가 늘어나나요?
👉 맞벌이라도 가구원 수는 실제 주민등록등본상 인원수를 기준으로 하며,
다만 합산 소득으로 평가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소득 기준부터 정확히 이해하자
2024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기준은
내가 청약이나 임대주택, 정부 지원 대출의 자격이 되는지를 결정하는 핵심 기준입니다.
제도를 신청하려는 사람이라면 단순히 자산이나 무주택 여부뿐 아니라,
소득이 기준에 맞는지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특히 올해는 기준 금액이 전년보다 다소 상승했기 때문에,
작년에는 조건이 안 됐던 분들도 올해는 자격이 될 가능성이 있어요!자신의 소득과 가구원 수를 기준표에 맞춰 비교해보고,
꼼꼼히 준비해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 모르면 손해! 신혼부부 필수 혜택 모음.zip
🔶 신혼부부를 위한 핵심 지원 제도
- 🏠 [신혼부부 특별공급] 내 집 마련의 첫걸음! 특별한 조건으로 청약 기회 확보
- 🏡 [신혼부부 국민임대주택] 임대료 부담 줄이고 안정적인 주거 시작
- 🏙️ [서울시 신혼부부 전세대출] 높은 전셋값 걱정은 NO! 서울시가 지원하는 대출 프로그램
- 🧬 [임신 산전검사 의료비 지원] 예비 부모 필수 정보! 건강한 출산을 위한 검사비 지원
- 🏘️ [신혼부부 행복주택] 교통 편리한 위치에 저렴한 임대료까지! 청년·신혼부부 인기 주거지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할 수 있는 직장인 재테크! 환테크에 딱 좋은 계좌 총정리📊 (0) 2025.04.17 🎉삼성카드 최대 27.8만원 캐시백 이벤트 총정리 (0) 2025.04.16 🔥2025년 4월 한정! 신한카드 캐시백 이벤트 + 직장인 재테크 팁 (0) 2025.04.15 💳직장인 재테크 꿀팁! 캐시백 카드 추천받는 법 + 체크카드 영향은? (0) 2025.04.14 노화를 늦추는 비밀 🔥 지금 당장 바꿔야 할 생활 습관 5가지 (1) 2025.03.24 동안 피부를 위한 저속노화 레시피🥗 — 하루 한 끼 식단 추천 (0) 2025.03.23 부모님 건강 걱정된다면? 💊 노화 방지에 좋은 영양제 BEST 5 (0) 2025.03.22 30대부터 시작하는 저속노화 식단🧆 — 피부와 건강을 지키는 비법 (0)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