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 0~5세 보육료부터 연장형, 장애아, 다문화, 방과후 보육료까지!
2025년 부모님이 꼭 알아야 할 보육료 지원 제도 총정리 했습니다.
목차
- 보육료 기본 지원 대상 및 연령별 금액
- 연장 보육료 지원 조건 및 금액
- 장애아 보육료 지원
- 다문화가정 보육료 지원
- 방과 후 보육료 지원
- 야간·24시간·휴일보육 등 기타 연장형 보육
- 꼭 챙겨야 할 보육료 혜택
👶 1. 보육료 기본 지원 대상 및 연령별 금액
✅ 지원 대상
- 대한민국 국적 + 주민등록번호 유효 보유 아동
- 만 0~5세 어린이집 이용 아동
- 유치원이 아닌 어린이집 이용자만 해당
📅 연령 기준일자 (2025년도 기준)
반명 생년월일 기준
0세반 2024.1.1. 이후 출생 1세반 2023.1.1. ~ 12.31 2세반 2022.1.1. ~ 12.31 3세반 2021.1.1. ~ 12.31 4세반 2020.1.1. ~ 12.31 5세반 2019.1.1. ~ 12.31 (취학유예자는 2018년생 포함) 💰 보육료 지원금액 (2025.1.1. 기준)
연령 기본보육 24시간 보육
0세 540,000원 810,000원 1세 475,000원 712,500원 2세 394,000원 591,000원 3~5세 280,000원 420,000원 ⏰ 2. 연장 보육료 지원 조건 및 금액
✅ 지원 조건
- 17시 이후 연장 보육 제공 어린이집
- 전자출결시스템 설치 및 운영 필수
- 보호자 상담 후 연장보육 자격 신청 → 어린이집 연장반 편성
💰 시간당 지원금
반명 교사:아동 비율 시간당 지원금
0세반 1:3 3,000원 영아반(1~2세) 1:5 2,000원 유아반(3~5세) 1:15 1,000원 장애아동 - 3,000원 ※ 연장반 미편성 아동도 간헐 이용 시 지원 가능
♿ 3. 장애아 보육료 지원
✅ 지원 대상
- 만 12세 이하 미취학 장애아동
- 또는 특수교육 대상자로 지정된 아동
- 의사진단서 제출로도 일부 인정 가능
💰 지원 금액
조건 월 지원금
1:3 비율 준수 + 전담교사 배치 587,000원 기준 미준수 시 연령별 상한액까지만 지원 🌏 4. 다문화가정 보육료 지원
✅ 지원 대상
-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른 다문화가정 자녀
- 만 0~5세 어린이집 이용 아동
- 대한민국 국적 소지 아동
✅ 지원 특징
- 소득·재산 관계없이 전액 지원
- 취학유예 시 만 5세 보육료 1회 재지원 가능
🏫 5. 방과 후 보육료 지원
✅ 지원 대상
- 차상위 이하 가정 또는 장애 취학아동
- 어린이집에서 방과 후 이용 시 적용
💰 월 지원금
구분 지원금액
일반 취학아동 100,000원 장애아 (기준 충족 시) 293,000원 (장애아보육료의 50%) ※ 교사 자격 요건·반 편성 기준 미달 시 금액 달라짐
※ 방학 중 종일 보육은 별도 산정
🌙 6. 야간·24시간·휴일보육 등 기타 연장형 보육
✅ 야간연장 보육 (19:30~24:00)
구분 지원금 월 최대지원
일반아동 4,000원/시간 240,000원 장애아동 5,000원/시간 300,000원 ✅ 야간 12시간 보육
- 주간 보육 없이 야간 19:30~07:30 이용 시 지원
- 지원금은 연령별 기본 보육료에 따름
✅ 24시간 보육
- 주간 + 야간 보육이 모두 필요한 경우
- 한부모, 야간근무 부모, 조손가정 등 대상
- 기본 + 야간 보육료 동시 지원
✅ 휴일 보육 (일요일·공휴일)
- 시간: 07:30~19:30
- 산식 기준으로 월 단위 계산
- 휴일 어린이집 미지정 시 150% 가산 지원
📌 꼭 챙겨야 할 보육료 혜택
보육료 지원제도는 단순한 복지 혜택이 아니라, 부모와 아이 모두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필수 제도입니다.
연령별, 상황별로 다양하게 마련된 이 제도를 잘 활용하면
양육비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보육 환경을 마련할 수 있어요.
특히 연장보육, 장애아, 다문화, 방과후 보육까지
꼼꼼하게 챙기면 최대 수십만 원의 혜택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모르면 손해! 신혼부부 필수 혜택 모음.zip
🔶 신혼부부를 위한 핵심 지원 제도
- 🏠 [신혼부부 특별공급] 내 집 마련의 첫걸음! 특별한 조건으로 청약 기회 확보
- 🏡 [신혼부부 국민임대주택] 임대료 부담 줄이고 안정적인 주거 시작
- 🏙️ [서울시 신혼부부 전세대출] 높은 전셋값 걱정은 NO! 서울시가 지원하는 대출 프로그램
- 🧬 [임신 산전검사 의료비 지원] 예비 부모 필수 정보! 건강한 출산을 위한 검사비 지원
- 🏘️ [신혼부부 행복주택] 교통 편리한 위치에 저렴한 임대료까지! 청년·신혼부부 인기 주거지
🔶 출산 지원 제도
-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진료비, 약제비 등 임신 관련 의료비를 국민행복카드로 최대 100만 원 지원
-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시험관·인공수정 시술에 대해 건강보험+국가지원금으로 비용 부담 완화
🔶 보육·양육 지원 제도
- 🍼 [보육료 지원 안내] 어린이집 이용 시 연령별 보육료를 정부에서 일부 또는 전액 지원
- 🏡 [가정양육수당]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 시 월 최대 30만 원 지급
- 💼 [부모급여 제도] 만 0~1세 자녀 양육 가정에 최대 월 100만 원 현금 지원
- ❓ [어린이집 다니면 부모급여 받을 수 있을까?] 부모급여 대신 보육료 지원 적용
'국가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담보대출 금액별 이자·월 납입금 비교 총정리💰 3억 대출하면 월에 얼마? (0) 2025.04.05 어린이집 다니면 부모급여 못 받나요?🙋♂️ 현금 vs 바우처 완전정리 (0) 2025.04.04 2025 부모급여 제도 완전정리! 월 100만원 받는 방법 (0) 2025.04.03 2025 가정양육수당 완전정리😎 대상부터 월령별 지원금까지 한눈에 (0) 2025.04.02 2025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제도 총정리!💥 조건부터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0) 2025.03.31 HUG 든든전세주택 총정리! 나이·소득 상관❌ 청약 리스트 (0) 2025.03.30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제도 총정리🎁 국민행복카드로 100만원까지 받는 법 (0) 2025.03.30 신혼부부를 위한 행복주택 완벽 가이드👍 자격부터 신청 방법까지 (0)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