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집 마련을 고민하고 있다면,
한 번쯤 들어봤을 ‘보금자리론’과 ‘특례보금자리론’.
둘 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에서 운영하는 고정금리 정부지원 대출인데,
뭐가 더 좋은지 헷갈리신 적 있나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두 대출의 차이점과
어떤 상황에 어떤 대출이 더 유리한지 정리해드릴게요!
✅ 두 대출의 공통점
- 정부가 운영하는 고정금리 장기 주택담보대출
- 무주택자 또는 1주택 처분 조건자 대상
- 실거주 목적 주택 구입 시만 가능
- 최장 40년까지 상환 가능
👉 안정적인 금리와 장기 상환이 가능해
월세 탈출용 또는 청약 잔금 대출용으로 많이 활용돼요.
🔍 보금자리론 vs 특례보금자리론 비교표
소득 요건 외벌이 7천만 원 / 맞벌이 1억 이하 ❌ 없음 (전 국민 대상) 주택 가격 제한 시가 6억 원 이하 시가 9억 원 이하 대출 한도 최대 5억 원 최대 5억 원 금리 약 3.0%~4.0% (우대금리 O) 약 3.25%~3.85% (우대금리 O) 우대금리 대상 청년, 신혼부부, 다자녀, 저소득층 등 비슷한 구조로 적용 가능 시행 기간 상시 운영 한시 운영 (2025년 말 종료 가능성) 중복 대출 가능성 다른 대출과 일부 병행 가능 타 정책 대출과 병행 불가 💡 어떤 경우에 뭐가 유리할까?
✔ 보금자리론이 유리한 경우
- 내 소득이 낮다
- 주택 가격이 6억 이하이다
- 장기적으로 안정적 금리와 혜택을 받고 싶다
- 대출 중복(청년우대형, 디딤돌 등) 고려 중
👉 소득 요건 충족 시, 더 낮은 금리와 우대 조건 가능
✔ 특례보금자리론이 유리한 경우
- 연소득이 1억~1.5억 수준이라 기존 대출이 안 됐다
- 9억 원 이하 주택을 매수할 계획
- 금리 변동이 불안하고 장기 고정금리를 원함
- 빠른 실행 필요 (잔금 대출 등)
👉 소득과 무관하게 신청 가능 + 실행 절차 간단
📝 실제 사례 비교
📍사례 1: 연봉 5천 외벌이 + 5억 아파트 구입 예정
→ ✅ 보금자리론 추천
: 소득, 주택가 모두 조건 충족 + 우대금리 가능
📍사례 2: 맞벌이 연봉 1.2억 + 8억 아파트 매수 예정
→ ✅ 특례보금자리론 추천
: 보금자리론은 소득 초과로 불가. 특례로 가능!
❗주의할 점
- 특례보금자리론은 한시적 운영!
- → 늦으면 제도 종료될 수 있어요.
- 두 상품 모두 전세나 투자용 목적은 불가
- → 실거주용만 가능!
✅ 마무리 요약
소득이 낮고 6억 이하 주택 보금자리론 소득이 높고 9억 이하 주택 특례보금자리론 장기 고정금리가 필요 둘 다 가능 (조건 따라 유리한 쪽 선택) 청약 당첨 후 잔금대출 둘 다 가능 (조건에 따라 선택) '부동산·대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전세 붕괴가 집값 폭등으로 이어질까? (1) 2025.07.10 💥 스트레스DSR ? 연봉 별 6억 가능 여부 정리! (0) 2025.07.04 🏙️ 3기 신도시 진행 상황, 전망 (2025년 최신 정리) (2) 2025.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