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노산 임산부, 맘살롱입니다 :)
출산 예정이 2026년이고, 1990년생 이상이라면 필독!
서울시에서는 고령 임산부(만 35세 이상)를 대상으로
임신 관련 외래 진료비를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해주는 제도를 운영 중이에요.
저는 90년생에 2026년 출산 예정이라 딱 대상이더라고요 😊💡 어떤 제도인가요?
📌서울시 고령 임산부 외래진료비 지원사업
📌 서울시는 임신·출산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만 35세 이상 임산부에게 임신 관련 외래진료비를 1회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하고 있어요.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 ✅ 지원대상
나이 기준 임신 진단일 기준 만 35세 이상 (예: 1990년생, 2026년 출산 예정자 포함) 주소지 서울시 거주 중인 임산부 기타 부부 모두 서울시에 주소가 있지 않아도, 산모 본인이 서울 거주 중이면 OK 💳 지원 내용
지원금액 임신 1회당 최대 50만 원 (자부담금 기준) 지원횟수 임신 1회당 1회 지원 대상 진료 산부인과 외래진료, 임신 관련 타과 외래진료 🧾 어떤 진료가 해당되나요?
✅ 지원되는 진료
- 산부인과 정기검진, 초음파, 혈액검사
- 임신 중 발생한 감기, 요로감염, 질염 등 다른 과 진료
- 한방 진료도 가능 (한의원 포함)
- 단, 의사의 진단서 또는 진료기록에 ‘임신 관련’ 문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제외되는 항목
- 입원비, 식대, 약값, 제증명 발급비
- 임신과 무관한 피부과·치과 등 일반 진료
- 국민행복카드로 결제한 진료비는 중복지원 불가
💡 진짜 꿀팁 2가지!
① 진료비는 모아서 한 번에 신청!
- 영수증을 따로 보관해두었다가
50만 원에 근접했을 때 한 번에 신청하는 게 제일 효율적이에요.
② 니프티 검사 등 고액 진료는 개인카드로 결제하세요
- 국민행복카드로 결제하면 이 사업과 중복지원 안 됨
- 그래서 니프티/NIPT, 정밀 초음파 등은 일반 카드로 결제 후 → 본 사업으로 환급 신청!
📝 신청 방법
신청기간 출산일 기준 1년 이내 신청 가능 신청장소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필요서류 - 임신확인서 또는 산모수첩
- 진료비 영수증
- 진료비 세부내역서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문의 서울시 다산콜센터 120 또는 관할 보건소 ✅ 요약 정리
대상 서울 거주 만 35세 이상 임산부 금액 임신 1회당 최대 50만 원 진료 산부인과 및 임신 관련 타과 외래진료 제외 입원, 약값, 국민행복카드 결제 금액 등 신청 출산일 기준 1년 이내 보건소 방문 접수 👉 결론
✔️ 90년생 이상 + 서울 거주 + 2026년 출산 예정자 = 대상자 확정!
✔️ 감기나 질염도 임신 관련이면 진료비 환급 OK
✔️ 고액검사는 국민행복카드 말고 일반카드 결제 후 청구하세요
✔️ 출산 후 1년 안에 신청 안 하면 혜택 못 받아요!📌 지금부터 진료비 영수증, 진단서 꼭 챙겨두세요!
'육아·출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주차별 병원 검사 일정 총정리! 저는 6~7주차에 한 번에 확인했어요 (0) 2025.07.09 🧬 90년생, 노산 산모라면 필수 검사! 니프티(NIPT) 검사 (1) 2025.07.08 ☕ 임산부, 커피 괜찮을까? + 주문 필수, 임신 초기 영양제 🛒 (1) 2025.07.07 보건소 임산부 혜택 싹 다 정리했어요! 엽산제부터 출산축하금까지 (1) 2025.07.06 임테기 2줄이 너무 흐릴 경우! 꼭 참고하세요✨ (0) 2025.07.05 🍼 노산 산모의 임신 준비, 2가지로 시작했어요! (0) 2025.06.26 임신 준비를 위한 생리주기 계산법과 배란일 체크법✅ (가장 중요한 포인트!) (1) 2025.05.01 ✅ 임신 준비 중 피해야 할 음식 10가지❌ (임신 전 꼭 알아두세요!) (0)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