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약 준비하다 보면 꼭 보게 되는 문구,
바로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 이하’**죠.
이게 대체 무슨 말인지, 어디서 얼마를 기준으로 보는 건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2025년 청약 기준 소득표와 개념 정리를 준비했습니다!
✅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은
도시지역에서 근로소득으로 생활하는 가구들의 평균 소득을 말해요.
청약 자격 조건에서 자주 등장하는 100%·120%·130%·140% 이하라는 표현은
이 도시근로자 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자격 제한선을 설정한 거예요.
📌 전년도 소득 기준을 적용하는 이유
청약할 때는 항상 전년도 기준의 월평균소득을 적용합니다.
2025년 1~2월 2023년 기준 2025년 3월~12월 2024년 기준 (💡 대부분 여기에 해당!) 즉, 2025년 대부분의 청약은 2024년 기준 월소득 표를 참고해야 해요!
📊 2025년 청약 적용: 2024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기준표
출처: 2024년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적용시점: 2025년 3월 이후 청약에 적용
기준: LH 등 공공청약 공고문 기준
가구원수 100% 기준소득 120% 기준 130% 기준 140% 기준 3인 이하 7,205,312원 8,646,374원 9,366,906원 10,087,437원 4인 8,578,088원 10,293,705원 11,151,515원 12,009,322원 5인 9,031,048원 10,837,258원 11,740,362원 12,643,467원 ※ 1~3인 가구는 대부분 "3인 이하"로 묶어 동일 기준 적용
※ 단위는 '원', 월 기준 (세전)
📝 꼭 기억하세요!
- 본인의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 금액이 달라지니, 반드시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 실제 청약 신청 전에는 청약 공고문에 실린 기준표가 최종 기준이 됩니다.
- 모든 기준은 세전 월소득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 마무리 정리
"나 소득 때문에 청약 못 넣는 거 아냐?"
이런 고민을 덜어주는 게 바로 이 표입니다.
전년도 기준을 참고하는 이유,
가구원수별 정확한 기준표까지 한 번에 정리했으니
청약 준비하실 때 꼭 저장해두세요!
'부동산·대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H 분양일정 총정리📅] 하반기 1만6천가구 공급…3기 신도시 포함! (0) 2025.07.22 2025년 보금자리론·특례보금자리론 비교✅ 내게 유리한 대출은? (0) 2025.07.21 🏠 2025년, 전세 붕괴가 집값 폭등으로 이어질까? (1) 2025.07.10 💥 스트레스DSR ? 연봉 별 6억 가능 여부 정리! (0) 2025.07.04 🏙️ 3기 신도시 진행 상황, 전망 (2025년 최신 정리) (2) 2025.06.15